-
[강남차병원] 증상은 없어도 합병증은 치명적 '겨울철 고 혈압' - 순환기내과 김민선 교수카테고리 없음 2020. 9. 22. 02:24
안녕하세요.강남차병원 차쌤임니다.우리과인라 국민 4명 중 1명이 앓고 있고,겨울철 특히 위험한 이 질환은 어느일까요?
>
곧바로 고혈압인데요. 고혈압 환자들은 겨울철 찬 바라다에 노출되면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더 위험할 수밖에 없음니다. 초기에는 무증상이 대부분이라 당신로 방치할 수도 있으과인 치료 없이 증상이 계속 진행되면 합병증은 물론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어 조기진단 및 평상시 관리가 중요하지요. 금일은 순환기내과 김민선 교수님의 도움이말로 겨울철 고혈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확장기 혈압으로 과인누어 읽을 수 있는데,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를,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확장하면서 피를 받아들일 때 혈관이 받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그중 고혈압은 여러 번 측정한 혈압의 평균치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과인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고혈압은 크게 원발성 고혈압(1차성)과 속발성 고혈압(2차성)으로 구분되는데요. 원발성 고혈압은 특별한 원인 질환이 없는 고혈압을 의미하는데, 우리과인라 고혈압 환자 중 90퍼센트 이상이 이에 해당하지요. 속발성 고혈압은 신장 질환이과인 내분비 질환 등 특정 질환이 원인이 되어 혈압이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젊은 층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니다.*2018 유럽심장학회/유럽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ESC/ESH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arterial hypertension)1) 정상혈압 :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이고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2) 고혈압 전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mmHg 이거과인 확장기 혈압 80~89mmHg3) 1기 고혈압(경도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40~159mmHg 이거과인 확장기 혈압 90~99mmHg4) 2기 고혈압(중등도 이상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60mmHg이상 이거과인 확장기 혈압 100mmHg
>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제라는 별명이 있는데, 대부분 환자가 초기에 증상이 없어 고혈압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죠. 뒷머리가 당기거과인 두통, 현기증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개인에 따라 증상의 발현 여부가 달라 증상만으로 고혈압을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증상이 과인타과인는 대부분의 경우는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다른 장기 등에서 증상이 발현되는 것인데, 이때는 병세가 꽤 진행된 상태이지요. 혈압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 뇌, 신장 등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여, 협심증이과인 심근경색, 신부전, 뇌출혈, 신경화증 등이 과인타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것입니다.
>
고혈압 진단은 정확한 혈압 측정이 가장 중요하죠. 혈압은 계속 변천하고 신체 활동이나 식사 소리식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에서 여러 번 측정하는 것이 좋습 니다. 혈압을 잴 때는 최소 5분 이상 안정을 취하고, 측정 30분 전에는 다소리배를 피우거나 커피를 마시지 않아야 합니다. 스포츠을 한 경우라면 최소 1~2때때로 후에 혈압 측정이 이뤄져야 하죠. 고혈압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족 중 고혈압 환자가 있을수록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 활동량이 엄청 적거나 과체중이고, 흡연을 할 경우,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에는 그 위험.도가 높아지죠. 입니다신으로 인해 생기는 입니다신성 고혈압은 입니다신 기간 중 혈압이 높아지고 분만 후에 정상 혈압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입니다신 중 태반의 혈류 장아이와 체질적 요인에 의해 발생 활 수 있습니다... 특히, 입니다신 전 고혈압이 있거나 과체중이었던 경우, 고령입니다신인 경우에는 입니다신성 고혈압이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입니다신성 고혈압은 입니다신중독증이나 자간전증으로 이행되어 입니다산부와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이 의심되는 경우 미리 마스터와 상다소리하여 적절한 치료 및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하죠.
>
고혈압을 치료 및 예방하는 데 있어 생활버릇 교정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가장 먼저 짜고 자극적인 식버릇을 제한해야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저염식 식단의 하루 국산 소금 섭취량은 6g(비스킷 약 9조각) 이내로 이를 유념해 섭취를 하고, 매일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이 좋지요. 걷기, 달리기,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은 혈관 저항을 완화해 혈압을 오전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비만일 때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해 고혈압이 발병할 위험이 5배가량 높기 때문에 BMI(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자신눈 값, kg/m2)가 25 이상이 자신왔다면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 적극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을 처방하는데, 1차적으로 혈압 강하 작용을 하는 강압제를 사용합니다. 약을 처방할 때는 환자의 혈압과 함께 심혈관계 질환을 고려하고 두 가지 이상의 약제를 조합하여 치료를 하기도 하죠. 약물은 되도록 물과 함께 복용하고, 다른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혹시시 모를 부작용을 대비해 미리 전문가에게 밝히고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약을 복용할 때 가장 우선해야 하는 것은 거르지 않고 정해진 양을 계속 복용하는 것인데요. 환자가 이다의로 판단해 약을 줄이거자신 노상려서는 안되며 반듯이 전문가와의 상뒤을 거쳐 약물의 복용 원칙을 정하고 지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