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계 행성순서, 수금지화목토천해명에서 명왕성이 퇴출된 이유는?카테고리 없음 2020. 6. 22. 17:55
>
태양계에는 전부 몇 개의 행성이 있는거죠? 현재 지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하고 배우고 있지만 이전과는 조금 달랐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퇴출당한 명왕성도 이전에는 태양계 행성 중 하 본인이었습니다. 그래서 과학시간 때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고 짧게 만들어서 외우기도 했구요. 가장 작은 행성이었던 명왕성은 때때로 그 자리를 잃고 왜 소행성으로 분류되었을까요?
>
원래 태양계 행성으로 불리던 명왕성은 2005년에 명왕성보다 큰 행성인 엘리스를 발견해 지위를 잃게 되었습니다. 명왕성은 원래 태양을 가운데로 돌던 다른 행성과 달리 타원형의 궤도를 갖고 있어 다른 행성보다 크게 기울고 돌았습니다. 태양계의 끝에서 돌아가는 작은 공 같은 상념으로 이 이야기에요. 명왕성은 심지어 달보다 작아요. 이미 이 이야기에서 언급했듯이 엘리스의 등장으로 태양계 행성을 결정할 때 크기가 중요한지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일었습니다.
>
명왕성을 행성의 지위에서 박면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과학자는 즉석 브라운 교수입니다. 브라운 교수와 동료는 명왕성 있는 카이퍼 대학의 '올소리물' 13개를 연구하던 중 일부인 6개가 독특하고 꾸준한 궤도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계의 다른 8개의 행성과 마찬가지로 8시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본인에게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도 함께 발견했습니다. 이 독특한 궤도를 분석한 결과, 가운데는 지구보다 더 큰 행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명왕성은 태양계를 가운데로 돌지 않을 수 있다는 가설이 힘을 얻게 됩니다.
>
그때 프라하에 모인 천문학자들은 오랜 논란 끝에 결말 명왕성을 태양계에서 제외했습니다. 새로운 행성이었던 엘리스와 명왕성은 행성의 지위를 가지기에는 크기가 매우 작았기 때문에 * 왜소행성이라는 특별한 카테고리에 넣기로 결정하였고, 동시에 명왕성에는 '플루토이드'라는 새로운 명칭을 붙이게 되었습니다.* 왜소행성: 소행성과 행성의 중간형태의 천체를 분류하는 말이다.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니라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배제하지 않는 천체,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공 모양을 유지할 만한 질량을 가져야 한다. 현재까지 국제천문연맹이 공식 인정한 왜소행성은 셀레스, 명왕성, 엘리스, 하우메어, 마케 등 5개다.
>
우주는 굉장히 이과의 넓고 신비로운 공간입니다. 인류가 연구한 지 꽤 오래됐지만 우주를 안다고 하니 우주는 무척 넓어요. 그러나 수십 년에 걸쳐 명왕성이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그 크기가 당초 측정보다 훨씬 작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던 만큼 인류의 과학기술은 점차 발달하고 있습니다. 아주 먼 미래에는 정말 일반인도 우주에 어렵지 않게 갈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미스터리우스한 우주의 비밀을 연구하는 것을 우리는 천문학이라고 부를 것이다. 과거부터 인류는 미지의 공간인 하늘을 두려워했고, 그 안에 있는 원리와 흐름을 읽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습니다. 고대 천문학 유적에서 망원경의 발명까지. 천문학의 기초와 관측 기술의 발전에 대해 여러분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인류는 계속 발전과 진화를 거듭하며 과인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활발한 우주 탐험 시대가 열릴 때까지 인류는 어떻게 발전했을까요? 제주항공우주박물관 2층 천문우주관에 위치한 ZONE6에서는 현재의 우주탐험이 열리기까지 인류가 만들어 온 다양한 천문학 이야기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이곳에는 우리 아인라인들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성띠(모형)부터 천상의 열차 분야 지도,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간지 등 한국 천문학은 물론 이웃나라 정부이기도 한 China와 일본의 천문학 조사까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더 먼 고대 천문학의 역사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스터리 우주의 모든 것을 알고 싶다면 항공기와 우주, 두 가지 다양한 주제를 가진 흥미로운 박물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을 방문해 보세요.*위기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입니다.
>